시간대 변환 및 개인 일정과 같은 모든 기능이 포함된 일정을 확인하려면 JavaScript를 활성화하고 여기로 이동하세요.
오전 10:00
오전 10:00
20분
개회사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전 10:20
오전 10:20
30분
FOSDEM - what it is, why we do it, and how
RichiH

FOSDEM is the largest Open Source conference on Earth At 8,000+ attendees, it is one of the largest ones by attendee size. It is also the largest one which is completely non-commercial and for the benefit of the Open Source community. And it is the largest one, by far, by the amount of rooms, topics, talks, and speakers. And it's been running for 25 years in a row by now.

Let's talk through what FOSDEM is, how we make it work, and what you can hopefully copy.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전 10:50
오전 10:50
30분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 소스의 원동력 / Embracing yak shaving
洪 民憙 (Hong Minhee)

발표자가 지난 2년 동안 Hollo, Fedify, LogTape, Hackers' Pub, Upyo, Optique, BotKit 등 다양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을 시작하게 된 원동력으로서, 야크 셰이빙(yak shaving)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발표자의 오픈 소스 여정을 소개합니다. 또한, 그러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줍니다.


This talk introduces the speaker's open source journey, explaining yak shaving as the driving force behind starting various open source projects like Hollo, Fedify, LogTape, Hackers' Pub, Upyo, Optique, and BotKit over the past two years. It also showcases how these open source projects are interconnected.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전 11:20
오전 11:20
30분
NoSQL 기반 고성능 분산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AI Agent 개발
이세현

발표자 프로필: 발표자 이세현 님은 삼성전자, LG전자, Amazon Web Services를 거쳐 스타트업 CTO로 기술 리더십을 발휘했으며, 현재 Couchbase 시니어 솔루션즈 엔지니어로서 고객의 기술적 과제 해결과 AI·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타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전 11:50
오전 11:50
30분
Tenstorrent - 오픈소스 CPU와 AI 가속기
장형기 (Hyunggi Chang)

세상에는 수많은 오픈소스 AI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정작 그 연산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는 대부분 폐쇄적인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AI 엔지니어들이 모델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알지만, 실제 연산이 하드웨어에서 어떻게 수행되는지는 직접 볼 수 없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하드웨어 설계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전 과정이 오픈소스로 공개된 Tenstorrent의 CPU와 AI 가속기를 소개하고, 그 개발 과정에서 제가 경험한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There are countless open-source AI models in the world, but the hardware that actually performs their computations is mostly proprietary. As a result, many AI engineers understand how models work, but cannot directly see how the actual computations are carried out on hardware. In this session, I will introduce Tenstorrent’s CPUs and AI accelerators - whose entire process from hardware design to software is open-sourced - and share insights I gained during their development.

개발 언어 및 툴체인 (Programming Languages & Tooling)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12:20
오후 12:20
100분
점심시간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2:00
오후 2:00
30분
"누구나 원하는 오픈소스에 기여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전세계 유일의 오픈소스 기여모임 커뮤니티 운영기 with AI
김인제

"누구나 원하는 오픈소스에 기여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전세계 유일의 오픈소스 기여모임 커뮤니티 를 2년동안 운영해오며 500명 넘는 개발자 분들의 오픈소스 첫 기여를 직접 도와 500개 넘는 PR을 함께 만들며 국내 오픈소스 기여 문화를 맨 밑바닥부터 만들어가고 있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운영 이야기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비마관 421호
오후 2:00
30분
AT-protocol and Bluesky, a new approach to Open Social
이성민 (boltless)

In this session, I'll introduce how the AT-Protocol, which powers the next-generation SNS platform Bluesky, is changing the internet. We'll cover how AT-Protocol works, its future, and various web services that are already using it.


이 세션에서는 차세대 SNS 플랫폼, Bluesky를 동작시키는 AT-Protocol 이 어떻게 인터넷을 바꿔가고 있는지 소개합니다.
AT-Protocol의 동작 방식과 미래, 그리고 이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웹서비스들을 소개합니다.

기타
비마관 419호
오후 2:00
30분
RISC-V Architecture Bootstrapping: An Enterprise Linux Story
Louis Abel

The story of bootstrapping RISC-V for Rocky Linux 10.

기타
비마관 504호
오후 2:00
30분
데비안 프로젝트 기여 고찰: A Study on Contributions to the Debian Project
김종민

On-site Non-uploading 기여를 중심으로 데비안 기여 문화를 고찰합니다. A Study on Debian’s Contribution Culture Focusing on On-site Non-uploading Contributions.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비마관 420호
오후 2:30
오후 2:3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19호
오후 2:3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0호
오후 2:3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1호
오후 2:3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504호
오후 2:45
오후 2:45
30분
Building community in Taiwan: gathering and collaboration
Mac Taylor

In this session, we will give an overview of the current Taiwan's technical communities and the status, how do they contributions to open source. And also demonstrate how the organizer operates the community and gathers people.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비마관 421호
오후 2:45
30분
Solving Navigation Challenges with Rust
Ian Wagner

Most of us use a smartphone or in-vehicle navigation system on a daily basis to get directions and estimate our travel time. Geolocation is powered by GPS and other open standards, which are available for anyone to use for free. Map data is open thanks to projects like OpenStreetMap. And open-source routing engines like Valhalla generate high quality routes.

But the process of guiding the user to their destination, step by step, on any device, has long remained the realm of proprietary, vendor-locked software. This talk is about my journey building a credible open-source alternative, why we're building it in Rust, and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running a community project with corporate involvement.

개발 언어 및 툴체인 (Programming Languages & Tooling)
비마관 419호
오후 2:45
30분
식탁보 프로젝트 4년간의 여정: 바뀐 것과 바뀌지 않은 것
남정현

발표자: 남정현 — 식탁보 프로젝트 오너/메인 개발자, .NET 개발자, Microsoft MVP
시간: 40~50분
대상 청중
오픈 소스 프로젝트 운영자 및 기여자
보안·가상화·윈도우 환경 개발에 관심 있는 개발자
장기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과 피벗 경험을 배우고 싶은 사람들

2017년 첫 커밋에서 시작된 식탁보 프로젝트가 4년간 겪은 기술적·운영적 변화와, 변하지 않은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세션입니다.


Speaker: Jung-Hyun Nam — Owner/Main Developer of the TableCloth Project, .NET Developer, Microsoft MVP
Duration: 40–50 minutes
Target Audience
Open-source project maintainers and contributors
Developers interested in security, virtualization, and Windows environments
Those who want to learn about sustainability and pivoting in long-term projects

This session shares the technical and operational changes the Siktakbo project has gone through over four years since its first commit in 2017, along with the core values that have remained unchanged.

기타
비마관 504호
오후 2:45
30분
일반인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운영하기 (KLAS Helper)
Seongjin Kim

광운대학교 교내 재학생 약 8천명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확장 프로그램 KLAS Helper에 기여하고, 운영하면서 겪은 경험을 공유합니다. 프로젝트 기여부터 메인테이너 역할까지, 비개발자를 포함한 사용자와 소통하며 기술적, 커뮤니티적 문제를 해결했던 과정을 공유합니다.

사회적 영향과 공공기여 (FOSS for Society)
비마관 420호
오후 3:15
오후 3:1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19호
오후 3:1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0호
오후 3:1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1호
오후 3:1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504호
오후 3:30
오후 3:30
30분
AI 글쓰기
이광춘

많은 개발자와 연구자들이 여전히 MS 오피스, 아래아글과 같은 상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술 문서나 논문을 작성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코드와 결과물 분리, 재현성 부재, 버전 관리 어려움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합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Quarto를 중심으로 한 오픈소스 저작 도구와 Claude, Gemini CLI 같은 AI 도구를 결합한 혁신적인 글쓰기 워크플로우를 제안합니다. 특히, 터미널 기반의 AI 도구들이 기존 오픈소스 개발 환경과 얼마나 잘 통합되어 재현 가능하고, 버전 관리가 용이하며, 아름다운 결과물을 손쉽게 만들어낼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합니다.

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Education & Digital Literacy)
비마관 419호
오후 3:30
30분
How to collaborate on documents efficiently with ONLYOFFICE Docs?
Ekaterina Choi

This speech presents a solution to common collaboration challenges like disjointed workflows and version control issues. We will introduce ONLYOFFICE Docs, an open-source office suite designed for seamless and secure teamwork.

The session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each editor: the Document Editor for advanced word processing and reviews; the Spreadsheet Editor for complex data analysis and co-editing; the Presentation Editor for building decks collaboratively; and the robust PDF Editor for viewing and filling forms.

Attendees will learn the key advantages of the suite and discover how to streamline their document collaboration processes for maximum efficiency.

서버 & 클라우드 인프라 (Servers, DevOps & Cloud)
비마관 504호
오후 3:30
30분
Plain Text Accounting with hledger
한영빈

Plain Text Accounting 에 대해서 알아보고, PTA 앱 중 하나인 hledger 를 통해 실제 PTA를 활용한 사례를 함께 알아봅니다.

사회적 영향과 공공기여 (FOSS for Society)
비마관 421호
오후 3:30
30분
Unstoppable Force Behind Linux on RISC-V
Joey

Having Ubuntu Official support for RISC-V mass-produced consumer electronic devices like laptop instead of development board is a major step for RISC-V to succeed as an open standard and open source project inline with Canonical open source strategy.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비마관 420호
오후 4:00
오후 4:0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19호
오후 4:0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0호
오후 4:0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1호
오후 4:00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504호
오후 4:15
오후 4:15
30분
From Student to Professional: My Journey as an Open Source Developer
Harry Yoo

이 발표에서는 발표자가 리눅스 커널에 기여하며 겪은 다양한 어려움을 바탕으로, 오픈소스에 처음 참여할 때 마주하게 되는 난관과 그것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 기여 과정에서의 어려움: 코드 분석, 적합한 기여 이슈 찾기 등 처음 기여할 때 직면하는 난관
  • 지속적인 기여를 통해 협업과 커뮤니티에서 자리 잡기: 첫 기여 이후 꾸준히 활동하며 신뢰와 경험을 쌓는 과정
  • 회사 차원의 오픈소스 기여: 회사에서는 어떤 이유로, 어떤 방식으로 오픈소스에 참여하는지

In this talk, the speaker will discuss the challenges commonly faced when first getting involved in open source,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contributing to the Linux kernel, and how those challenges can be overcome. The main topics include:
• Difficulties during the first contribution: The obstacles one faces when making an initial contribution, such as understanding complex code and finding suitable issues to work on.
• Becoming part of the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contributions: How consistent participation helps a developer grow, collaborate effectively, and gradually find their place within the open-source community.
• Open-source contributions at the company level: Why companies participate in open source and how such contributions are made in a professional setting.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비마관 420호
오후 4:15
30분
Let's speak about Accessibility
Matthias Geisler

Accessibility isn't separate from good Android development—it's part of it. When we build with accessibility in mind from the start, our apps become more robust and our product elevates to the next level.
Let's explore practical approaches to making Android apps accessible and how this work naturally improves your development practices. Also, with the European Accessibility Act (EAA) now in effect, understanding these principles isn't just good practice—it's becoming essential for many Android applications and the businesses behind them.

기타
비마관 421호
오후 4:15
30분
LibreOffice 확장, H2O restart 의 개발 및 오픈소스 경험
반희수

이 발표는 오픈소스 LibreOffice 확장인 H2O Restart의 개발 과정과 기술적 도전, 그리고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의 전환 경험을 공유합니다. HWPX 파일을 ODT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한글 문서 구조 분석, LibreOffice API 활용, 그리고 커뮤니티 기여를 통해 품질을 개선해온 여정을 소개합니다.

This session presents the development journey of H2O Restart, an open-source LibreOffice extension designed to convert HWPX files into ODT format. It covers the technical challenges of parsing Hancom document structures, implementing LibreOffice extension interfaces, and leveraging UNO APIs. The talk also shares the transition to open source and the impact of community contributions.

데스크탑 & 사용자 경험 (Desktop & UX)
비마관 504호
오후 4:15
30분
나의 오픈소스 이야기: 한 줄의 코드에서 글로벌 애니메이션 엔진까지
유진의 (Jinny You)

개발자로서 처음 오픈소스에 발을 들인 순간부터 글로벌 그래픽스 엔진에 기여하기까지의 과정을 회고합니다. 웹/앱 등 프로덕트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다져오던 개발자가 초심자의 경험에서 오픈소스와 네이티브 시스템 개발이라는 도메인으로 다시 시작해, 점차 커뮤니티와의 협업, 코드 리뷰, 플랫폼 포팅, 신규 기능 제안/개발 등을 통해 그래픽스/오픈소스 생태계에서 성장해온 여정을 공유합니다. 특히, ThorVG와 같은 벡터 그래픽스 및 애니메이션 엔진에 기여한 경험을 통해 얻은 통찰을 나누며, 커뮤니티 속에서 배우고, 기여하고, 피드백을 통해 개선해온 과정을 소개합니다.

This session reflects on a developer’s journey — from making speaker's first open-source contribution to becoming a maintainer of a global graphics engine.
Originally specializing in web and app product development, the speaker shares how he transitioned into system engineering and open-source development in graphics domain through real-world collaboration, code reviews, cross-platform porting, and feature implementation within the community.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비마관 419호
오후 4:45
오후 4:4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19호
오후 4:4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0호
오후 4:4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421호
오후 4:45
15분
휴식 시간
비마관 504호
오후 5:00
오후 5:00
30분
Lessons Learned from Raspberry Pi Use Cases: A Deep Dive into Applying Them to Your Projects
Masafumi Ohta

Raspberry Pi is now everywhere. Originally created to help kids learn programming - its name “Pi” comes from Python - Raspberry Pi has grown far beyond its roots. Today, you’ll find it not only in DIY electronics projects, but also powering Linux server clusters and embedded business systems worldwide.
For more than a decade, Masafumi has supported numerous Raspberry Pi projects and helped grow the global community. In this talk, he will highlight the latest innovative use cases and explore how you can apply Raspberry Pi to your own projects.

기타
비마관 419호
오후 5:00
30분
OSS Case Study: Connect Any LLM - Commercial or Non-Commercial
Justin Yoo, Yewon Lim

Throughout this session, I'd like to introduce an OSS project, called OpenChat Playground that connects virtually any LLM regardless it's commercial or non-commercial.

개발 언어 및 툴체인 (Programming Languages & Tooling)
비마관 421호
오후 5:00
30분
The Hitchhiker's Guide to Linux Kernel Contribution
김윤성

The Linux kernel is one of the largest and most active open-source projects, but its massive codebase and unique development culture create a high barrier to entry for newcomers. While many guides focus on the technical methodology of sending the first patch (like using git send-email), beginners often feel lost about how to build expertise and contribute sustainably afterward.

I propose to present a beginner's contribution guide focused on the Linux kernel security domain within the Operating Systems and Distributions track. This talk will be based on existing materials (e.g., LKCamp tutorials and DebConf etherpad notes) but will be enhanced with practical tips from my own experience in kernel security activities, reframing the discussion using the security subsystem as a case study for analysis and participation. The format will be a Lightning Talk covering how to overcome beginner hurdles, analysis methods, and engagement strategies, emphasizing the use of the staging tree and security-related TODO lists.

운영체제와 배포판 (Operating Systems & Distros)
비마관 420호
오후 5:00
30분
리브레오피스 소개 및 문서 표준과 ODF
DaeHyun Sung

리브레오피스의 갼략한 소개 및 ODF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를 하겠습니다
ODF는 ISO/IEC 26300 국제 표준이며, 리브레오피스의 기본 문서 포맷입니다.
문서 표준으로 OOXML을 밀고 있는 Microsoft 또한 ODF 표준화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왜 ODF가 중요한지, 폐쇄적 포맷(OOXML, HWP등)과의 차이점, 그리고 공공기관에서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도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은 ODF 1.0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했지만, 실질적 사용률은 매우 낮은 실정입니다.
리브레오피스와 ODF는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디지털 주권과 자유를 위한 도구입니다.
청중들에게 리브레오피스와 ODF를 소개하며 AI시대에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서 포맷(machine readable format)이 왜 중요한지 이야기 하고, 한국에서의 실질적 ODF 확산 논의의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데스크탑 & 사용자 경험 (Desktop & UX)
비마관 504호
오후 5:30
오후 5:30
10분
휴식 시간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5:40
오후 5:40
5분
Onboarding Contributors: Lessons Learned
Ian Wagner

This lightning talk covers some lessons I've learned of contributing to and maintaining open-source projects for the past 20 years. Contributor onboarding is often quite painful, but some projects do a much better job than others. Listeners will hear practical improvements that every maintainer can adopt, and will help new projects launch with the right framework to build a vibrant community.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5:50
오후 5:50
5분
라이트닝 토크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5:55
오후 5:55
5분
라이트닝 토크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6:00
오후 6:00
5분
라이트닝 토크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6:05
오후 6:05
5분
Contribute to Infrastructure - 집에서 리눅스 패키지 저장소 미러 돌리기
서장협

sudo pacman -Syu가 오래 걸리는 게 짜증나서 직접 만들어 돌린 스토리지 부담을 최소화한 lazy 미러 narutbae

narutbae - sudo pacman -Syu took me so long that I had to write myself a small lazy repo mirror

커뮤니티와 기여문화 (Community & Contribution)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
오후 6:10
오후 6:10
20분
폐회사
컨퍼런스홀(새빛관 10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