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운영하기 (KLAS Helper)
2025-11-8 , 비마관 420호
언어: 한국어

광운대학교 교내 재학생 약 8천명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확장 프로그램 KLAS Helper에 기여하고, 운영하면서 겪은 경험을 공유합니다. 프로젝트 기여부터 메인테이너 역할까지, 비개발자를 포함한 사용자와 소통하며 기술적, 커뮤니티적 문제를 해결했던 과정을 공유합니다.


현재 광운대학교 4학년에 재학하며, Theori에 재직중인 김성진이라고 합니다. 광운대학교의 LMS 시스템인 KLAS에 기능을 추가해주는 KLAS Helper 프로젝트에 2021년부터 참가하여 4년간 프로젝트의 메인테이너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수 많은 번역 프로젝트와, ImHex, Pillow, uftrace, 그누보드 등 크고 작은 프로젝트에 기여한 경험이 있습니다. 해당 발표에서는 KLAS Helper 프로젝트를 오픈소스로 운영하며 얻은 경험을 공유해보자 합니다.

먼저, 개인적/기술적 문제에 대해서 발표합니다. 단순한 학부생이였던 제가 KLAS Helper 프로젝트에 기여하는것을 시작으로 메인테이너의 업무까지 수행하게 된 경험을 공유하고, 프로젝트를 유지하며 기술적으로 생겼던 문제들에 대해 발표합니다.

다음으로, 비 개발자들의 커뮤니티 관리 경험에 대하여 공유합니다. 일반 학생분들과 소통하며 여러 이슈를 해결하고, 학교와 소통하면서 겪게된 이슈들, 그리고 이를 통해 얻어낸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마지막으로, ‘황혼기’에 접어든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지하고 프로젝트를 계속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공유합니다.

해당 발표를 통해 많은 사람이 오픈소스에 더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현재 대학교에 재학중이면서, Theori에 재직중인 김성진입니다. 대학교에서 코딩을 공부한 이후, 꾸준하게 오픈소스 컨트리뷰션에 관심을 가지며 기여하고 있습니다.

  • 광운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재학
  • Theori Junior Researcher
  • 2023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멘티 uftrace 최우수상
  • 각종 취약점 제보 이력 존재 (CVE 20개 가량, KVE 60개 가량, 비공개 버그바운티 10개 가량 등)